중앙위 강행時 무기명 투표 요구키로
민집모 회원들은 14일 회동을 통해 중앙위를 국정감사 이후로 연기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문병호 의원이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문 의원은 “지금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국감을 철저히 하는 게 국회가 할 일이라고 판단했다”며 “그래서 민집모와 호남지역 의원들이 공동 주최하기로 한 오는 16일 토론회도 연기하기로 잠정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중앙위 개최 연기 요구가 문 대표와 당내 중진들의 합의에 배치된다’는 지적에 대해선 “합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1차 중진 모임에서는 분명히 중앙위를 국감 이후로 연기하자고 요청했고 그게 중진 다수의 의견이었지만 문 대표가 워낙 강력한 강행 의사를 보여서 중진들이 양해한 것이라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2차 중진 모임에서는 1차 때 참석한 분들 상당수가 참석하지 않아서 전체 중진 의사를 대변했다고 볼 수 있을지 생각해봐야 한다”고도 했다.
문 의원은 ‘국감 이후 중앙위를 개최할 경우 내년 총선 준비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재신임 절차 자체가 당의 통합이 아니라 분열을 부추기고 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이라면서 “당을 위한 길이 아닌 만큼 재고를 요청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만약, 문 대표가 민집모의 이 같은 의견을 수용치 않고 중앙위를 강행할 경우 무기명 투표를 요구하기로 했다. 당규에는 중앙위 의결 방식에 대한 규정이 없고 당무위 의결 절차에는 ‘표결은 거수 또는 기립으로 하되 인사 관련 사항은 비밀투표로 한다’는 규정만 있다.
민집모는 이 같은 뜻을 해외 국감중인 김성곤 중앙위 의장이 귀국하는 대로 만나서 이 같은 내용을 공식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거취가 내걸린 중앙위원회의 혁신안 통과 문제로 주류, 비주류 간 세 대결이 펼쳐질 것인지 관심이 모아진다.
중앙위에 참석하는 중앙위원은 당 지도부, 의원, 지역위원장, 광역·기초단체장, 시·도의회 의장, 국장급 당직자를 비롯 전국 노동위·여성위 추천 인사 등 총 576명으로 구성됐다.
양측의 세 대결이 펼쳐질 경우 16일 중앙위는 치열한 격론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