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신한은행도 ‘청년희망펀드’ 강요 의혹
국민은행·신한은행도 ‘청년희망펀드’ 강요 의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조 반발에 한 발 물러났지만…금융당국도 침묵
▲ 지난 21일 KEB하나은행이 청년희망펀드를 개시하면서 직원들에게 가입을 반강제적으로 종용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데 이어, 다음 날 뒤이어 개시한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역시 일부 영업점에서 가입을 종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제안한 지 1주일여 만에 초고속으로 개시된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상품이 개시 초기부터 은행들의 가입 강요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1일 KEB하나은행이 청년희망펀드를 개시하면서 직원들에게 가입을 반강제적으로 종용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데 이어, 다음 날 뒤이어 개시한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역시 일부 영업점에서 가입을 종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KB국민은행 노조는 현재 KB국민은행이 지역 본부별로 청년희망펀드 가입 현황을 보고하도록 지시했다가 노조가 반발하자 이를 철회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 측은 청년희망펀드에 가입하라는 공문이나 이메일은 없었지만 지역 본부별로 가입 실적을 보고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일부 지점장들이 개별 직원들을 압박했다는 사례도 발견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KB국민은행 측은 강요는 없었으며 좋은 의미로 시작한 것이라는 입장으로 알려졌지만 앞서 KEB하나은행이 전 임직원들에게 가입을 독려하는 이메일을 보내고 영업점에서 가입 현황을 체크한다는 얘기가 들려온 바 있어 KB국민은행에게도 따가운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KEB하나은행 측은 강요를 한 적이 없다며 한 발 물러섰지만 실제 가입 종용 행위를 겪은 직원들의 불만은 여전한 상황이다.
 
여기에 KB국민은행과 같은 날 개시한 신한은행 노조 역시 일부 영업점에서 가입을 종용하는 행위가 발견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한은행 노조는 사측에 이를 중단할 것을 요구해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하고 내부진화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청년희망펀드는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부 펀드를 제안한 지 일주일여 만에 초고속으로 개시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1일 KEB하나은행을 통해 1호로 가입했으며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정부 인사들과 금융권 CEO 및 임원들 역시 줄줄이 가입하고 있다.
 
가입을 위해서는 최소 1계좌 당 1만원 이상을 넣어야 하고 가입된 금액은 일반 펀드처럼 운용되지만 기부 목적이기 때문에 운용 수익은 물론 원금도 돌려받을 수 없다. 따라서 가입을 강요하는 행위는 기부를 강요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은행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가입을 종용하는 것에 대한 직원들의 불만이 큰 상태다. 배우자 명의로도 가입할 것을 종용한 사례도 속속들이 전해지고 있다.
 
한편 이날 금융감독원 측은 청년희망펀드 가입 강요 논란에 대해 조사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