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으로 발전할 일에 도와줘야 하는데 사사건건 개혁 방해”
10·28 지방의원 재·보궐 선거 지원을 위해 인천을 찾은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인천 서구 홈플러스 앞 지원유세에서 “정말 국민을 위해 너무나 할 일이 많은데 국회에서 (야당이) 발목을 잡고있어서 허파가 뒤집어 지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노사정 대타협을 통해 노동개혁의 절반 정도를 왔는데 야당이 협조를 안 해준다”면서 “야당이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더 크게 발전할 일에 적극적으로 도와줘야 하는데 사사건건 우리의 발목을 잡고 개혁을 방해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날 청와대에서의 ‘5자 회동’에 대해선 “완전히 서로가 하는 말이 다르다. 우리는 노동개혁을 빨리 완성해야 청년 일자리가 더 많이 만들 수 있다고 보는데 야당은 그렇게 생각을 안 한다는 것”이라며 “교과서에 북한을 찬양하는 내용이 있는데도 자기들이 읽어보니 그런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이 다르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또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 5년 중에 절반이 지나갔다”며 “박근혜 대통령만큼 개혁적인 대통령을 언제 또 만나겠느냐”고도 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와 관련해선 “전세계인들은 우리나라의 발전에 대해 기적이라고 높이 평가하고 부러워하고 있는데 정작 내년에 학교를 졸업해서 사회에 나오는 청년들은 우리나라를 그렇게 자랑스럽게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청년의 다수는 국가탓, 사회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이것은 학교 (역사) 교육이 잘못 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우리 중 고교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교과서는 기가 막혀서 가슴을 칠 정도”라고도 했다.
이어 “박 대통령께서 오래전부터 여기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부한테 빨리 고치라고 했는데 교육부에서는 고치려고 굉장히 노력했지만 국사학자들의 80∼90%가 이미 좌경화됐다. 그래서 못 고쳤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한국형 전투기(KF-X)의 미국측 핵심기술 이전 불가 방침을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순방 당시 이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별도의 보고는 없었다고 한 데 대해 “이해하지 못할 부분이 많이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애초에 미국에서 그런 첨단 기술에 대해서는 해외에 팔지 않는 게 미국의 국가 기본 방침”이라면서 “그것을 마치 우리가 돈 주고 살 수 있다고 기대한 게 잘못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문제 해결은 책임 질 사람은 지고, 우리는 4개 핵심 기술을 자체 개발하는 노력을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