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겸 MBC 사장, "낭만적 파업으로 과거 잘못 답습시대 사라져야"
김장겸 MBC 사장, "낭만적 파업으로 과거 잘못 답습시대 사라져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묘히 '블랙리스트'라는 단어로 연결해 경영진을 흔들고 있다"
▲ 김장겸 MBC 사장은 23일 오전 개최된 확대간부회의에서 “본 적도 없는 문건으로 교묘히 ‘블랙리스트’라는 단어로 연결해 경영진을 흔들고 있다”며 방송거부와 더불어 자신의 퇴진을 요구하자 파업에‘퇴진은 없다’고 못 박았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MBC 아나운서들의 방송거부와 더불어 김장겸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자 김 사장은 ‘퇴진은 없다’고 못 박았다.

김장겸 MBC 사장은 23일 오전 개최된 확대간부회의에서 “본 적도 없는 문건으로 교묘히 ‘블랙리스트’라는 단어로 연결해 경영진을 흔들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김 사장은 “오히려, 진정한 의미의 블랙리스트는 자신들의 성향과 다르다고 배포한 부역자 명단일 것”이라며 “언론노조가 회사를 전면파업으로 몰고 가려는 이유는 한 가지로 밖에 생각할 수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유례없이 언론사에 특별근로감독관을 파견하고, 각종 고소•고발을 해봐도 경영진에게 책임을 물을 근거가 없으니, 이제는 정치권력과 결탁해 합법적으로 선임된 경영진을 억지로 몰아내려는 게 아닌가 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 문 대통령과 방통위원장의 ‘공영방송이 무너졌다’는 발언에 대해 “공영방송이 무너지고 안 무너지고는 대통령과 정치인이 판단할 문제라고 보지 않는다”며 “과거 광우병 보도와 한미 FTA, 노무현 대통령 탄핵, 김대업 병풍 보도 등의 사례에 비추어 보았을 때 시청자나 역사의 판단은 다른 것이었다”고 했다.

이어 “제가 이 자리에서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이러한 불법적이고 폭압적인 방식에 밀려, 저를 비롯한 경영진이 퇴진하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며 “대통령과 여당이 압박하고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행동한다고 해서 합법적으로 선임된 공영방송의 경영진이 물러난다면, 이것이야말로 헌법과 방송법에서 규정한 언론의 자유와 방송의 독립이라는 가치가 무너지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방송의 독립과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서라도 정치권력과 언론노조에 의해 경영진이 교체되는 선례를 남겨서는 안된다”며 “그렇게 해야 MBC가 정치권력과 고리를 끊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또 “문화방송은 지금까지 모두 12번의 파업을 했다”며 “파업을 할 때마다 MBC의 브랜드 가치는 계단식으로 뚝뚝 떨어졌으며 그 때마다 경쟁사들이 성장할 기회를 만들어 줬다”며 “결과가 눈에 뻔히 보이는데도 낭만적 파업으로 과거의 잘못을 다시 답습하는 방식은 이제 그만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