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해외병해충' 검출 건수 7만 건 육박...예견된 '살인개미'?
최근 7년간 '해외병해충' 검출 건수 7만 건 육박...예견된 '살인개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시아지역 수입화물에서 해외병해충 가장 많이 검출돼
▲ 대륙별 수입검역에 따른 해외병해충 발견 실적 / ⓒ위성곤 의원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최근 부산에서 발견된 ‘붉은불개미’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7년간 전국 공항만에서 수입검역에 따른 해외병해충 검출 건수가 무려 7만 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농축산위 소속 위성곤 의원이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동안 수입검역(화물) 증가에 따른 해외병해충 검출 건수가 총 6만9,44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검출 건수를 살펴보면, 2010년 9,735건, 2011년 8,873건, 2012년 9,827건이 검출됐고, 2013년과 2014년에는 이전 3년보다 다소 하락한 7,516건, 7,890건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5년에는 2014년 대비 36%가 증가한 1만2,075건이 검출됐으며, 2016년에는 1만3,529건에 달하는 해외병해충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식용 식물’에서의 해외병해충 검출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 수입검역에 있어서 해외병해충이 가장 많이 검출된 대륙은 아시아 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년간의 검출 실적을 살펴보면, 아시아는 4만7,205건으로 전체 검출건수 중 68%를 차지해 7개 대륙 중 가장 많은 병해충 검출 건수를 기록하고 있었다. 

뒤를 이어 북미가 8,580건(12%), 유럽이 5,665건(8%), 남미 3,464(5%)건, 아프리카 2,101건(3%), 오세아니아 2,005건(3%), 중미 425건(1%)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위 의원은 “1900년 이래 우리나라에 유입된 해외병해충이 89종에 달하고, 2000년 이후에만 34종이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는 등 해외병해충 유입 피해가 현실화 돼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