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운수노동자들이 세계 운수노동자들과 함께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적극 나섰다
6일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국제운수노련(ITF) 국제행동주간 한국행동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한 운행을 보장할 수 있는 표준운임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월호 참사로 인해 규제 완화 정책과 안전 문제가 직결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드러났다”며 “안전 문제의 심각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운수노동자들이 안전한 운수사업을 위해 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세월호 참사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된 ‘과적’은 매일 화물차 사고를 일으키는 주범”며 “10개 이상의 나라에서도 안전한 컨테이너 운송과 장거리 운행을 보장하는 법·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는 별개로 이들은 ▲버스·택시 ▲철도·지하철 ▲항공·공항 분야의 안전을 확보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여객 도로운수 노동자들은 버스노동자들의 노동시간 단축과 버스 공영제 도입을 요구한다”며 “택시노동자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도급택시 철폐와 운송수입금 전액관리제 시행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또 “전세계 철도·지하철 노동자들은 한 목소리로 ‘민영화와 규제 완화 저지’, ‘철도·지하철 안전 강화’를 외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는 올해만 13건의 크고 작은 철도·지하철 사고가 발생했다. 2인 승무를 의무화하고 안전 관련 상시업무 인력을 직접 고용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항공·공항 분야에 대해서는 “한국 조종사 최대 비행 근무 시간은 연 1000시간으로 안전을 위협할 정도”라며 “인천국제공항도 안전 업무를 포함한 공항 업무 다수를 외주화해 공항안전을 무시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국제운수노련(International Transport Workers’ Federation·ITF)은 154개국 700개 이상 가맹 조직으로 460만여명의 조합원을 대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국철도노조가 가맹돼 있으며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도 가맹 승계 절차가 진행 중이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