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경남지사는 9일 무상급식 등 무상복지 논란과 관련, 진보와 보수 진영 모두를 비판했다.
홍 지사는 이날 저녁 페이스북에 “무상급식, 무상보육 문제는 좌우문제, 보수진보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재정능력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홍 지사는 이어 “무책임한 진보좌파가 이 문제를 보수진보의 가늠자로 삼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홍 지사는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못하는 비겁한 보수도 이 나라를 파탄으로 몰고 가고 있는 방조범”이라면서 “이제 이 문제를 국가적 아젠다로 내세워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홍 지사는 또 10일에는 교육부를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날 “국가재정이 채무로 파탄지경인데 진보좌파진영에서 무상파티를 계속하자는 것은 빚잔치를 계속하자는 것”이라면서 “무상급식으로 교육재정도 파탄지경인데 무상보육을 지방채를 발행해서 시행하라고 하는 교육부도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홍 지사는 “한국도 그리스로 가자는 것이냐”고 물은 뒤 “미래세대에 빚만 잔뜩 안기는 무상파티는 이제 냉정히 돌아볼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들은 이미 지난 지방선거 때 야당 경기지사 후보의 무상버스 정책을 냉정히 거부한 바 있다. 국가재정문제를 국가 아젠다로 설정해 국민들을 설득해야 할 때”라면서 “같이 허리띠 졸라매고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을 외칠 때다”라고 말했다.
한편 홍준표발(發) 무상급식 논란은 진보성향 교육감들이 주도한 누리과정 즉, 무상보육 문제와 뒤엉켜 보수·진보 진영은 무상복지 문제에 대한 논쟁을 펼치고 있다.
진보진영은 홍준표 때리기를 하면서 누리과정과 관련해선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대선 공약을 지켜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보수진영은 재정 상황을 언급하면서 복지 포퓰리즘으로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