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처음으로 서울시의 일반아파트 매매가가 재건축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보다 2배 가량 압도했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기준 서울의 일반아파트 주간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8% 상승, 0.05% 오르는 데 그친 재건축 아파트를 0.03%p 추월했다. 그간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폭이 일반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을 압도해온 것이 당연스레 여겨졌지만, 부동산 시장의 격변 속에 이마저도 옛 일이 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일반 아파트값의 강세가 사상 최악의 전세난 속에서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돌아서는 흐름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최근 재건축 대상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주춤한 반면 일반아파트는 전세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매매거래가 성사되면서 주간 상승폭이 역전된 것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시내 25개구 가운데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노원구(1293건)와 강서구(883건) 순이었다. 노원구와 강서구는 중소형 일반아파트들이 몰려 있어 실수요자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특히 지난달 노원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서울시내 25개구 가운데 가장 많은 1293건으로 4월 서울 아파트 총 거래량인 1만3912건의 9.3%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4월 거래량인 819건에 비해서도 57.8%나 증가한 것이다. 최근 노원구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가 2억5천만원대로 서울 평균 전세가인 3억원에 비해 매매가가 더 싼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반면 재건축 아파트는 일부 대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감소했거나, 거래가 성사돼도 가격은 오르지 않고 있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박사 박준 대표는 ”거래는 늘어도 가격은 오르지 않고 있어서 통계상 재건축 가격 상승폭도 주춤한 것 같다“고 말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재건축 투자수요에 비해 세입자 등이 주축이 된 실수요자들이 탄탄하게 뒷받침되면서 일반 아파트 가격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커진 듯하다”며 “저금리, 전세난과 맞물려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