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남미 순방 이후 건강악화로 일주일간 안정을 취해왔던 박근혜 대통령이 1주일 만에 공식 업무에 복귀한 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의 발언에 대해 일침을 가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주재한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아베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비롯한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실한 사과로 이웃국가들과의 신뢰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살리지 못한 것은 미국에서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며 “역사를 직시하지 못하고 과거사 문제에 스스로 매몰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일본이 이렇게 가더라도 이는 우리가 해결해줄 수 없는 문제”라며 “그러므로 우리 외교는 (일본의 경우처럼) 과거사에 매몰되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과거사 문제와는 별개로 국익 차원의 ‘실리 외교’는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면서도 “한·미 동맹과 한·일 관계, 한·중 관계 등의 외교 문제는 또 다른 차원의 분명한 목표와 방향을 갖고 추진하고 있는 만큼 각 사안에서 우리의 외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소신 있게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외교 고립 우려를 지적한 듯 외교력 강화에 대해서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우리나라가 유럽연합(EU)의 예비 불법어업국 지정에서 최종 해제된 것 등을 예로 들면서 “이들 교섭사례는 정부가 중요한 외교목표의 달성을 위해 노력한 것들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진 것을 잘 보여준다”며 “세계는 지금 경제를 위해서도 외교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차분하면서도 강력한 외교와 실리 외교를 펼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성취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외교력 강화에 더 만전을 기해주고, 외교정책 추진에 한 치의 빈틈도 없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네팔에서 지난달 25일 대규모 지진피해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선 “네팔 참사에 대해 다시 한 번 애도를 표한다”며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네팔 정부와 국민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피해복구와 경제 재건에 최대한 기여해야겠다”고 말했다.
또한 “현지의 열악한 사정으로 어려움과 불안을 겪은 우리 국민이 많을 것”이라며 “관계 부처는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국을 위해 최선을 다해 달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