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억원대의 회삿돈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하고 매출액을 조작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코스틸 박재천 회장이 결국 구속됐다.
지난 13일 밤 서울중앙지방법원 김도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영장실질심사에서 “주요 범죄사실의 소명이 있고, 구속 사유와 필요성이 인정된다”며 검찰이 청구한 박재천 회장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은 지난 11일 박재천 회장에 대해 횡령·배임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날 박재천 회장은 오전 10시경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청사에 정장 차림으로 도착해 “200억원 횡령 혐의 인정하느냐”, “어떤 부분 소명할 것인가”라는 기자들의 질의에 굳은 표정으로 입을 닫은채 변호인과 함께 법정으로 들어가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했다.
박재천 회장은 지난 2005년에서 2012년까지 철선제품에 사용되는 슬래브 등 철강 중간재를 포스코에서 사들인 후 거래대금이나 매출액을 조작하는 수법으로 200억 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코스틸은 이렇게 조성한 비자금을 포스코에 전달하는 등 ‘비자금 창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코스틸은 포스코그룹의 핵심 계열사 포스코로부터 철강 중간재인 슬래브를 구매해 철선 등의 가공 제품을 만드는 철강 회사다. 선재 분야에서는 국내 철선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할 정도로 규모가 만만치 않다.
‘포스코 비리’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검찰은 지난달 7일 코스틸 본사와 포항공장, 박재천 회장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며 수사를 본격화해왔다.
특히 검찰이 박재천 회장을 정면으로 겨냥하면서 포스코 수사와의 연관성에 관심이 쏠린다. 박재천 회장은 2001년부터 코스틸 대표이사를 맡아 왔고 한국철강협회 내 선재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재임하는 등 마당발로 통하고 있다. 또한 박재천 회장은 재경 포항고 동문회장을 지내는 등 이명박 정권의 핵심 인사들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스코 비자금 의혹의 핵심인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과도 두터운 친분을 쌓고 있다는 점에서 검찰이 정준양 전 회장 및 MB정권 실세들로 수사망을 좁혀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검찰은 출신 지역에서 구축한 영향력과 인맥 등을 동원해 박재천 회장이 포스코의 정관계 로비 활동을 담당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