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저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휘청거리고 있는 현대자동차가 최근 SK하이닉스에 시총 2위 자리를 내준 데 이어 하루 만에 무려 10% 이상 급락하는 굴욕을 맛봤다.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차 주가는 전날보다 10.36%(1만6000원) 내려간 13만8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현대차 주가는 장중 13만8000원까지 떨어지며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우기ᄁᆞ지 했다.
현대차 주가가 14만원을 하회한 것은 지난 2010년 8월 27일 13만8000원의 종가를 기록한 이후 5년여 만에 처음이다. 10%대의 낙폭 역시 2011년 8월 19일 10.98%가 폭락한 이후 처음 기록됐다. 사상 최고가인 26만8500원을 기록한 시기가 2012년 4월임을 감안해보면 불과 3년여 만에 주가가 반토막이 난 셈이다.
이날 외국인은 1486억원어치를 팔았고, 기관 역시 802억원어치를 팔았다. 특히 기관 쪽에서는 연기금의 매도세가 강했다.
주가 급락에 따라 지난달 27일 SK하이닉스에 시총 2위를 내줬을 때보다도 더 시총이 쪼그라들었다. 이날 현대차의 시총은 30조5083억원까지 줄어들어 2위인 SK하이닉스의 37조2737억원과 6조7654억원으로 격차가 확대됐다.
심지어는 시총이 4위로 내려앉을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된다. 4위인 한국전력의 시총은 29조4340억원으로 현대차와 1조원 가량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전날 발표된 현대차의 판매량이 현대차에 대한 투자심리를 크게 위축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날 현대차는 국내 5만4990대, 해외 33만4309대 등 전세계 시장에서 총 38만9299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4%가 줄어든 수치다. 기아차와 합해도 63만1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현대차뿐 아니라 현대모비스와 기아차 등 현대차그룹주도 일제히 급락했다. 현대모비스는 전날보다 8.47% 하락한 20만원에 마감했다. 52주 신저가 수준인 장중 19만750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기아차는 4.12% 내린 4만5400원에 장을 마쳤다. 부품주인 현대위아(-12.19%)도 크게 내리며 이날 52주 신저가를 새로 썼다.
특히 현대차는 엔저 장기화 및 심화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자동차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을 직접적으로 겪고 있다. 이날 일본 엔화 가치는 2002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한때 달러당 125엔대에 진입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