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여당이 제한한 긴급 당정청 회동을 청와대가 사실상 거절하면서 당청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는 가운데, 4일 새누리당 친이계 중진인 정병국 의원은 “대화를 아예 단절하고 거부를 한다면 결별하자는 얘기밖에 더 되나, 이런 자세로 나가서는 안된다”라고 비판했다.
정병국 의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생각의 차이가 있다라면 생각의 차이를 좁혀가고 그러면서 이것을 국정 파트너로서 적극 지원을 해야되는게 당의 임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긴급 당정청 회동을 거부한 청와대를 향해 “도저히 어떤 생각을 가지고 이렇게 나가는 것인지 지금 이게 감정적인 문제를 가지고 대처를 해야 되는 것인지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라고 질타했다.
일부 친박계 의원들 중심으로 국회법 개정안에 합의한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론을 제기한 것에 대해서는 “비겁하다”면서 “이것은 어떤 원내대표 혼자만의 책임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원내대표는 협상 창구 역할을 한 것이고 협상안을 가지고 와서 최고위원회도 최고회의도 몇 차례 걸쳐서 동의를 받고 그것을 의총까지 걸쳐서 동의를 받고 여야 합의로 해서 87%의 가결을, 찬성을 통해서 가결이 된 것”이라면서 “그런데 그게 나중에 청와대에서 이게 문제있다라고 문제제기를 하니까 그때서야 문제있다는 식으로 책임론을 들고 나온다는 어떤 의도가 없이는 이렇게 나올 수 없다”고 맹비판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와 관련해 “대통령께서 당연히 이 사안뿐만이 아니라 역대 정권을 통해서 보더라도 정부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이라 거부권 행사하실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이 문제를 가지고 계파간의 문제 이런 쪽으로 접근을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거부권을 행사를 하게 되면 후속적인 절차에 따라서 처리를 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며 “그런데 이러한 부분들이 특정인의 대한 문제점으로 연결을 해서 꼭 찝어서 그걸 사퇴를 하느니 어쩌느니 이런 분위기가 형성이 되고 한다면 전혀 향후에 국정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메르스 확산의 원인이 청와대 내 컨트롤타워 부재가 문제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관료들의 무사안일이 이런 화를 키웠다”라며 “심각성을 바로 인지하지 못하고 지금 보건복지부의 대처나 청와대의 대처나 한참이 지나서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니까 그때서야 비상대책반을 만드는 모습을 보면서 좀 답답하다”고 꼬집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