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전날 당내 의원들에게 ‘언론 인터뷰를 삼가고 자중하라’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1일,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 친박계와 비박계간 설전이 이어졌다.
친박계는 국회법 개정안 협상의 당사자인 유 원내대표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비박계는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고민할 수 있도록 놔둬야 한다는 입장이다.
친박계 이장우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당청갈등, 원내 국회의원들 포함한 전체 리더십, 이런 것들이 원내대표께서 유지를 하신다고 한들 리더십 구현이 불가능하다”면서 “당청에 대한 여러 가지 역할이 실질적으로 현재로선 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사퇴하시리라고 보고 있고 또 사퇴하는 게 맞다”고 압박했다.
그러면서 그는 “의총 가기 전까지 현명한 선택을 하시는 게 맞다”며 “의원총회에 가서 여러 가지 사퇴해야 되느냐 안 해야 되느냐 가지고 지나치게 논쟁하는 것보다는 먼저 결단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유 원내대표의 사퇴 시한을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에 재의하는 6일로 예상했다. 그는 “지난 최고위원회에서 대부분의 최고위원이 사퇴를 권고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유 원내대표가 생각할 시간을 달라고 했다”며 “오는 6일 국회법 재의 처리가 끝날 것으로 보는데, 그 시점까지 일단 기다려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아울러 유 원내대표가 자진 사퇴하지 않을 경우, 최고위원들의 사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친박계의 거센 사퇴 요구에 대해 “유승민 원내대표에게 맡겨둬야지 이걸 다른 사람들이 의원총회에서 선출된 원내대표를 일방적으로 자신의 주장만을 가지고 종용하거나 압박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면서 “이 문제는 새누리당 내에서 더 이상 국민들에게 볼썽사나운 모습으로 왈가왈부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두고 의총을 개최하자는 것에 대해 “유 원내대표의 재신임이 이뤄지면 대통령에게 엄청난 문제가 돌아갈 것이고, 유 원내대표의 사퇴가 결정된다고 하더라도 당내 엄청난 분란이 일 수 밖에 없다”며 “정치로써 이 문제를 풀어야 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각에서 ‘명예로운 퇴진’이라는 분석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선 “지금 유승민 원내대표의 마음은 그런 자진사퇴나 명예로운 사퇴의 마음은 결코 아니지 않나?”라면서 “새누리당 구성원들은 시간을 가지고 유승민 원내대표가 한 사람의 정치인으로서 그 정치인이 자신을 정리하고 자신의 심경을 자신이 직접 가다듬고 정리할 때까지는 절대 더 이상 문제를 악화시켜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