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세계최초로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 분석 성공
국내 연구팀, 세계최초로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 분석 성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자 변이나 이상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법을 찾을 수 있게 될 것
▲ 1일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연구팀이 인간 세포 속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 생성의 열쇠가 되는 드로셔(DROSHA)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 대해 세계 최초로 규명했음을 밝혔다. ⓒ미래부
1일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연구팀이 인간 세포 속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 생성의 열쇠가 되는 드로셔(DROSHA)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 대해 세계 최초로 규명했음을 밝혔다.
 
이는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교수)이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규명되었으며, 드로셔 단백질이 발견된 지 12년 만에 3차원 구조를 분석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1일 세계적인 생명과학 저널인 셀(Cell)에 올라갔다.
 
miRNA는 세포의 발생, 분화, 사멸, 분열, 암 발생 등 세포내에서 다른 유전자 조절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밝혀졌다.
 
지난해 6월 김 단장 연구팀은 우재성 IBS 연구위원과 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제가 1개의 드로셔와 2개의 DGCR8 분자로 구성돼 있음을 밝힌바 있으며, 이어서 이번 연구에서 엑스선결정학에 관련된 방법으로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해 드로셔의 일부 작동 원리에 대해 밝혀낸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로 miRNA 생성과 발현과정을 알아낸다면 유전자 변이나 이상발현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법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뿐만아니라 miRNA를 이용한 신약 개발 이나 다른 응용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가능할 것이라 전망된다.
 
김 단장은 "지난 6월 Cell 논문을 통해 드로셔-DGCR8 복합체 기능과 구성을 규명한 것에서 더 발전시켜 이번 연구는 드로셔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며, 연속성 있는 연구가 가능한 환경이었기에 이뤄낼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시사포커스 / 오무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