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기한 만료 임박했지만 여전히 온도차 보여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 3사의 국장급과 케이블VOD 비상대책위가 지정한 협상단은 전날 협상 기한 연장 이후 처음으로 충무로 케이블협회에 마련된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이견을 거의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지난 15일 협상 기한을 이달 말까지 연장한 바 있어 재차 연장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상파와 케이블 업계의 분쟁은 해묵은 재송신료 다툼에 더해 최근 VOD 공급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지상파 측은 협상 타결이 없으면 예정대로 VOD를 공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케이블TV 측 역시 VOD공급 중단 시 즉각 지상파 채널 광고를 중단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앞으로 이틀 내에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결국 시청자들이 케이블TV로 MBC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광고가 가려지는 ‘블랙아웃’ 사태가 현실화되고 지상파의 VOD 서비스도 이용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최근 독자 행보를 걷고 있는 케이블TV사 씨앤앰이 지상파 3사와 적정 CPS 금액을 두고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측의 VOD 협상은 물론 CPS 협상에까지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케이블 업계는 지상파가 씨앤앰 사례를 무기로 협상에서 우위에 설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2012년 케이블TV사들이 지상파에 재송신료를 지불하게 되던 과정에서 소수의 MSO들이 지상파의 요구를 들어주기 시작하자 결국 전체 MSO가 이를 따라야 했던 전례가 있다.
한 케이블TV사 관계자는 <시사포커스>와의 통화에서 “씨앤앰의 독자 행보가 이틀 남은 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면서 “케이블TV 업계로서는 양보할 만큼 양보했는데도 지상파 측이 버티고 있는 상황이라 억울한 점이 많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법원이 개별SO에게 가입자당 재송신료를 190원 수준으로 맞춘 것을 감안하면 현재 내고 있는 280원도 많은데 이를 430원으로 인상해 달라는 요구는 과도한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