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은 26일 참여정부 당시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 논란과 공무원연금 개혁 등과 관련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겨냥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에서 문 대표는 특별사면은 법무부 소관이라는 ‘발뺌 변명과 ’진실이 저절로 다 불거져 나올 것이다‘라는 허황된 답변만 하고 있다”며 “문 대표의 솔직한 답변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문 대표와 특별사면은 ‘특별한 관계’에 의한 ‘특별한 사면’”이라면서 “문 대표는 2003년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특별사면 때는 청와대 민정수석이었고, 2005년과 2007년 성완종 전 회장의 특별사면 때는 청와대 민정수석과 청와대 비서실장의 직책을 맡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수석대변인은 “헌법을 파괴한 통합진보당의 해산으로 세금은 낭비되었고, 성 전 회장의 파문으로 정책과 민생은 실종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들은 작금의 상황에 대해 묻고 있다. 문 대표는 두 번의 특별사면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라며고 덧붙였다.
또한 여야가 합의한 처리 시한이 임박한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해서도 문 대표의 입장 표명을 거듭 촉구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지금 이 순간에도 매일 80억원, 내년엔 매일 100억원의 국민세금이 공무원연금의 적자를 메우는데 들어간다”며 “문 대표의 어깨에 얹힌 역사적 책무가 무겁다. 그렇다고 그 무게를 우리의 아들딸들에게 떠넘기는 것은 비겁한 책임 회피이자 면피주의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국민들은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한 문 대표의 분명한 입장과 답변을 원하고 있다”며 “선거만 보이고, 국가의 미래는 안 보이느냐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문 대표는 외면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