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지역 선거구·비례대표 의석 수 문제 어떻게 해결하나?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이날 오후 정의화 국회의장 중재로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13일까지 양당 대표, 원내대표, 원내수석부대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가 참여하는 회동을 통해 선거구획정 담판을 짓기로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회동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제일 시급한 문제는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서 양당이 기준을 만들어 획정위에 넘기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어 “오늘 내일 중으로 양당 정개특위 간사와 수석부대표가 만나서 실무적인 얘기를 하고 어느 정도 의견이 좁혀지면 내일 저녁이라도 양당 당 대표, 원내대표, 정개특위 간사, 수석부대표 이렇게 만나서 이 문제에 대해서 합의를 보기 위한 노력을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표는 “양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정개특위 간사가 2+2로 우선 실무진 합의를 선행하고 거기서 방안이 좁혀지거나 몇 가지 선택 가능한 방안이 마련되면 내일 저녁이라도 양당 대표, 원내대표까지 함께해 밤을 새서라도 마무리해보자고 했다”고 말했다.
여야 대표의 합의로 여야 원내수석, 정개특위 간사는 10일부터 실무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여야 대표가 합의를 한 것은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안의 법정 처리 시한이 당장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더 이상 시간을 끌 수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선거구 획정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해보면 여야는 적어도 오는 11일까지는 획정 기준에 합의해야 한다.
현재 쟁점은 농어촌 지역 선거구와 비례대표 의석 수 문제다. 새누리당의 경우 비례대표를 축고하더라도 농어촌 지역 대표성을 살려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수를 줄일 수 없다는 방침이다.
양당이 첨예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쟁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합의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