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이 3일 국회법 개정안 논란과 관련, 청와대를 향해 “메르스는 뒷전에 놓고 당청 간 내분이나 일으키는 이 정부가 생각이 있느냐”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싸우다가도 국가 중대 사태가 있으면 즉각 중단해 다음으로 미루고, 급한 메르스부터 해결하자고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최근 청와대가 하는 일을 보면 정말 이 정부가 생각이 있는 정부인지 의심이 들 때가 많다”면서 “세월호가 불과 1년이 지났는데 메르스 사태를 보면 발생한 지 2주가 다 돼서야 관계 장관 회의를 처음 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첫 번째 (메르스) 환자가 죽는 날 청와대는 무엇을 했나. ‘국회법을 못 받아들인다’고 했다”며 “환자가 늘어나는데도 ‘당정청 협의를 할 필요가 있나’라고 했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지금이야 말로 당정청이 모여서 머리를 맞대고 국민 불안감 해소 등을 종합적으로 해야 할 시기에 청와대가 정쟁을 유발하는 발언을 계속 쏟아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또 “메르스 관련 부처는 사람이 죽고 난 다음에 처음으로 관계 부처 장관 회의를 했다”며 “이러고도 이 정부가 딴 말을 할 수 있는 양심이 있는가”라고 쓴소리를 쏟아냈다.
또한 “정말 말을 하지 않고 못 참을 일이 있으면 당정청 회의에 지도부를 불러 ‘우리가 좀 서운하다. 다음부터 소통 잘하자’고 얘기하는 것이 옳다”며 “연일 방송에다 대놓고 ‘당정 협의가 필요 없다. (국회법을) 못 받아들인다’고 하는 것은 정부의 모습이 아니다”고도 했다.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선 “청와대나 당 지도부가 5월 중 공무원연금법을 통과시킨 것이 이 정부의 최대 업적”이라면서 “야당은 공무원연금법을 통과시킨다는 대의에다 자기들이 얻을 수 있는 명분을 고집하는데 야당에도 명분을 줘야 하는 것”라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아무리 조문을 들여다봐도 뭐가 (개정안이 이전과) 그렇게 차이가 나느냐”며 “야당에 국회법 개정 명분을 주고 여당으로서는 공무원연금 개혁의 실리를 갖는 것이 협상”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당내 일부 친박계 의원들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론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서도 “사태가 이렇게 됐으면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야 하는 것”이라면서 “비판할 것이 있으면 의원총회를 열든가 아니면 당 지도부가 최고위에서 원내대표를 격려해줘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국회법 개정안을 원내대표가 단독으로 처리했고, 최고위에서 추인을 안한 것이냐.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에게 위임을 하지 않았나. 공동책임 아닌가”라고 반문했다.